경제적 가치로 보는 대학 전공 선택
- 가장 높은 연봉을 받는 전공과목은 '석유공학'이다.
- 가장 낮은 연봉을 받는 전공과목은 '유아교육학'이다.
'더 가치 있는 학문은 무엇일까?'
모든 학문은 서로 다른 기준의 가치를 담고 있으므로, 가치는 비교가 불가하며, 모두 동일하게 중요한 학문이라는 점에선 누구도 이견을 갖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갓 대학 전공 공부를 마친 초년생들이 경험하는 구직 시장의 현실은 분명 이들의 기대와는 분명한 괴리감이 있는게 현실이고, 이 같은 현실을 속 시원히 말하지 않는 것이 교육의 또 다른 단면(모순)이 아닐까 생각한다.
2015년 조지타운 대학은 '대학 전공의 경제적 가치'라는 연구조사를 발표한 바 있다. '대학생들이 선택한 대학의 전공이 훗날 나에게 가져다 줄 경제적 가치는 얼마일까?' 라는 현실적이고 원칙적인 질문에서 시작한 데이터 수집으로 215페이지의 구체적인 분석과 결론을 제시했다.
석유공학 전공자와 유아교육학 전공자의 일생동안 커리어 누적 연봉의 차이는 $3.4 million 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반면, 고등학교 졸업자와 대학 졸업자의 일생동안 커리어 누적 연봉 차이는 오히려 $1 million이라는 조사가 있다. 이같은 사실을 되새겨 본다면 전공 선택의 중요성을 고민해보지 않을 수 없다.
대학별 연봉 관계를 조사한 결과와 전공별 연봉 관계를 조사한 연구조사를 비교해보면 전공별 연봉 격차가 대학별 연봉 격차보다 더 크게 차이가 난다는 걸 쉽게 알 수 있다. 만약 연봉과 취업(경제적 가치를 기준으로)을 기준으로 합리적 선택을 한다면 '이름보고' 대학을 간다는 말보다 '전공보고' 대학 간다는 말이 보다 통계적으로도 충분히 납득/설명이 가능한 결론일 수 있다.
'전공별 대학원 진학률을 주목하자.'
커리어 기간 중 학사학위에 머물지 않고 전공관련 석사/박사 학위까지 취득한 사람의 비율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전공별 대학원 진학률이 높을 때 우리가 예상할 수 있는 3가지 합리적 해석을 고려해볼 수있다.
첫째, 이 전공 분야에 직종에 진입(취업)하기 위해 석사/박사 학위 소지가 중요한 요소일 수 있다.
둘째, 이 전공 분야 직종에선 석사/박사 학위 소지가 연봉 인상에 결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셋째, 이 전공 분야 직종에서 커리어 경쟁(관리직/결정권자 승진, 자기개발)을 위해 석사/박사 학위 소지가 중요한 요소일 수 있다.
전공별로 보면 커리어 동안 석사/박사 학위 취득률이 20% 중반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생물학(Biology & Life Science)을 전공한 학부 학생들 중 관련 커리어 동안 석사/박사 학위 취득률이 58%에 육박하는 것은 독보적이다. 실제 중간 연봉(25-59세)이 $56,000인 학부생(생물학)들이 석사/박사 학위를 취득한다면 중간 연봉은 $92,000으로 64% 파격 인상된다. 화학/물리학 (대학원 진학률50%)과 사회학 (대학원 진학률41.2%)도 생물학과 마찬가지로 대학원 진학률이 높은데 중간 연봉 인상률이 각각 49%, 45%에 다다른다.
'구직 시장 점유율을 주목하자'
전공을 큰 틀로 나눠 통계를 뽑아본다면 한 가지 공통된 결론이 나오기도 한다. 비즈니스계통 전공, 과학/공학계통 전공, 의료계통 전공이 전체 구직 시장에 대략 75%를 차지 한다는 점이다. 한인들이 많은 캘리포니아, 워싱턴, 뉴욕만 보더라도 그렇다.
캘리포니아 주 : 캘리포니아 주는 전체 구직 시장의 54%가 최소 대학 학위를 요구한다. 대학 학위를 요구하는 구직 시장 중 34% 지분은 비즈니스 학위 관련된 구직광고가 차지하고 있고 31%의 지분은 과학/공학 학위 관련한 구직 광고로 크게 양분화되어 있다. 8% 지분은 의료 학위 관련 구직광고까지 합세하면 전체 73% 구직 시장은 3분야 전공자들에게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대표적인 기업으론 Kaiser Permanente, eBay, University of California 대학, 시스코, 퀄컴, HP사, Sutter Health사 등이 있다. 연간 평균 27만 개의 구직 시장(학사 이상)을 형성하는 거대 시장이다.
워싱턴 주: 워싱턴 주는 전체 구직 시장의 47%가 최소 대학 학위를 요구한다. 대학 학위를 요구하는 구직 시장 중 31% 지분은 비즈니스 학위 관련된 구직광고가 차지하고 있고 30%의 지분은 과학/공학 학위 관련한 구직 광고로 크게 양분화되어 있다. 14% 지분은 의료 학위 관련 구직광고까지 합세하면 전체 75% 구직 시장은 3분야 전공자들에게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대표적인 기업으론 Amazon, Microsoft, Providence, University of Washington, Boeing, Expedia 사 등이 있다. 연간 평균 6.5만 개의 구직 시장(학사 이상)을 형성한다.
뉴욕 주: 뉴욕 주는 전체 구직 시장의 61%가 최소 대학 학위를 요구한다. 대학 학위를 요구하는 구직 시장 중 40% 지분은 비즈니스 학위 관련된 구직광고가 차지하고 있고 25%의 지분은 과학/공학 학위 관련한 구직 광고로 크게 양분화되어 있다. 8% 지분은 의료 학위 관련 구직광고까지 합세하면 전체 73% 구직 시장은 3분야 전공자들에게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대표적인 기업으론 IBM, JP Morgan, Citi, Columbia University, Morgan Stanley사 등이 있다. 연간 평균 13만 개의 구직 시장(학사 이상)을 형성한다.
'합의점(Compromise)을 찾을 수 있다.'
내 열정과 재능을 뒤로해서라도 모두가 구직 시장의 75%를 점유하는 Business/STEM/Health로 전공을 맞추라고 누가 감히 말하겠는가. 당연히 열정과 재능으로 전공을 선택하는 것이 마땅하다. 하지만 구직 시장의 트렌드도 고려하고 수없이 많은 직업들이 사라질지 모르는 4차 산업 혁명의 직격탄을 맞이할 세대로서의 대비도 고려한다면 전 세계적으로 구직 시장의 선호도 중심에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자신의 전공지식과 Computer Science 정도는 접목할 수 있는 기본적인 수양을 쌓아 수식어가 따라다니는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될 수 있다면 구직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영어를 전공해도 좋고, 교육을 전공해도 좋고, 언어학을 전공해도 좋고, 디자인을 전공해도 좋다. '언어학을 전공한 소프트웨어 개발자', '영문학을 전공한 소프트웨어 개발자’, '심리학을 전공한 소프트 웨어 개발자' 같은 수식어를 만들수 있다면 합의점/타협점을 찾을 수 있을꺼라 생각한다. 대학들도 학생들의 Computer Science 복수 전공은 권장하는 곳이 많다. 심지어 지금은 구직시장에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대학 전공 졸업후 소프트웨어 개발자 양성 프로그램에서 이력을 쌓는 사회 초년생들도 많다.
우리는 벤딩머신 앞에 서서 동전을 넣을 때에도, Input에 대한 어떤 형태의 Output-결과물을 기대하기 마련이다. 기호에 따라 결과물에 대한 기대를 안고 따뜻하고 향기로운 커피를 선택하든, 속 시원한 탄산음료든 선택하게 될 것이다. 물론 대학이 벤딩머신처럼 일률적인 결과물을 생산하는 시스템 기관이라고 말할 수 없지만 우리의 선택(전공)이 목표한 결과(취업)에 보다 근접하기 위해 학생 개개인이 주도적으로 자신들의 전공 선택에 대한 경제적 가치에 대해 조사하고 이해하는 것이 필수임을 수없이 강조해도 부족하다.
Wonna Kim/ Elite Prep Irvine (Northwood & Newport Beach) wonna.kim@eliteprep.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