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인 영어만 잘해, 외국어 경쟁력은 저하

교육뉴스

belt-mguy-hp.png

영국인 영어만 잘해, 외국어 경쟁력은 저하

관리자 0

6b9c90f96adde13e91dc3dc73d56c4b4_1533768411_3629.jpg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세계화로 영어가 더 널리 쓰이면서 제2외국어 습득 영국인은 급격히 감소하는 대신 유럽연합(EU) 내 다른 회원국의 국민들이 영어 공부를 더 많이 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지난 18일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러한 현상들을 소개하며 이로 인해 영국 내의 일자리 경쟁에서 영국인들이 수세에 몰리게 됐다고 전했다.

 

지난해 영국문화원 조사에 따르면 프랑스어·스페인어 등 EU 회원국 언어를 고교 졸업 표준시험으로 선택한 학생은 영국 전체 학생의 47%에 지나지 않았다. 이는 2002년에 비해 무려 29% 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영국 학생들이 고등학교 졸업시 프랑스어를 선택한 경우는 지난해 8%로 1997년 21%에 비해 뚝 떨어졌다. 독일어 시험을 보도록 하는 공립학교도 3년 전보다 25% 더 줄었다.

이에 반해 EU 회원국에서는 제2외국어를 구사할 줄 아는 국민들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영국을 제외한 27개 EU 회원국의 중고교생은 평균 1.6개의 외국어를 익히고 있으며 이들이 공부하는 외국어는 대부분 영어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영어는 EU 회원국 사이에서 제2의 공용어로 부상했다.

세계경제포럼(WEF)에 따르면 네덜란드나 덴마크, 스웨덴의 경우 국민 70% 이상이 영어를 자유롭게 구사한다. 영어는 EU 회원국의 실질적인 언어로, 프랑스어를 따돌린 지 이미 오래다.

 

지난 14개월 동안 스페인, 프랑스, 폴란드에서는 제2 외국어로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정상이 취임했다. 전임자들은 자국어만 구사할 수 있었다. 이처럼 영어 사용이 늘어남에도 불구하고 영국인들의 경쟁적 우위는 빠르게 무너져 내리고 있다.

다국적기업이 EU 회원국을 상대로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할 때 영어 구사자를 찾는 것은 이제 더는 중요한 고려 사항이 안 되는 세상이 됐다. 도리어 기업은 다양한 언어로 소통하면서 국경 넘어 존재하는 소비자와 좋은 관계를 맺기 위해, EU 회원국 언어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는 사람들을 찾는다. 

 

WSJ는 영국이 단순히 영어 사용국이라는 무기를 갖추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이민자들을 많이 받아들여 다국적 인재가 풍부한 나라가 됐기에 투자하기 좋은 나라가 됐다고 평가하면서 영국이 이민규제를 한층 더 강화하는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를 굳이 따지지 않더라도 이제는 이런 경쟁우위를 누릴 수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투자를 더 많이 유치하려는 다른 나라들도 다양한 외국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이민자들을 더 많이 받아들이는 게 경제성장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WSJ는 2년 전 파리정치대학인 시앙스포가 모든 강의를 영어로 전환하는 등 유럽의 상위권 대학 상당수가 완전히 영어로 진행되는 강의를 개설해 놓고 있다는 점을 사례로 들었다.

 

신문은 영국 정치인들이 '글로벌 영국'을 계속 떠들고 있으나 글로벌 언어인 영어만 구사할 줄 아는 영국인들은 과거 수십 년 동안의 교육 시스템 탓에 정작 크게 실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WSJ는 영국인들이 ‘자연스럽게 3개 언어를 모국어처럼 구사하는’ 새로운 세대의 EU 국민들과 맞서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0 Comments
belt-mguy-hp.png
Facebook Twitter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